03. 육아일기/0. 부모교육

[부모교육-애착] 02. ★ 부모와 아이의 애착 요약(한국보육진흥원 자료)

제니T 2023. 6. 10. 00:28
728x90
반응형

"한국보육진흥원 자료: 부모와 아이의 애착" 을 정리했습니다.

https://www.kcpi.or.kr/kcpi/cyberpr/pubchildcent/detail.do?colContentsSeq=23928

 

한국보육진흥원

60초 후 자동 로그아웃 예정입니다 안전한 사이트 이용을 위하여 한시간동안 사용이 없으실 경우 자동으로 로그아웃됩니다.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[로그인 연장] 버튼을 클릭하여 주시기

www.kcpi.or.kr

 

I. 관계의 비밀

1. 관계와 애착

 1) 애착이란?

  - 보울비: 애착을 가장 가까운 사람과 연결되게 하는 강렬하고도 지속적인 정서적 결속

  - 에인스워스: 영아가 특정 개인에 대해 형성하는 애정적인 결속이나 정서적 유대 관계

 ⇒ 초기에 주양육자와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양육자와 아이 간의 애정적 결속아동기뿐 아니라 청소년기, 성인기 심지어 노년기까지 지속됨.

 2) 애착은 영유아가 맺는 모든 관계와 영향이 있음

  - 부모-자녀 초기 상호작용 형태가 자녀의 대인관계 방식으로 이어짐. 

  - 부모와 아이 간의 관계가 향후의 모든 관계의 기초이기 때문에 중요.

  - 교사와 아이 간의 안정적 애착이 부모와 아이 간의 불안정 애착을 보상할 수 있음.

 

2. 관계와 두뇌발달

 1) 영유아기 양육과 두뇌발달의 관계

  - 뇌 성장의 90%가 생후 첫 5년 동안 이루어짐. 

  - 뇌는 하나의 적응기관으로, 행복과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더라도 개인이 처한 어떠한 환경에서도 적응함.

  - 예1) 유년시절 폭력적 경험 - 뇌는 불운한 상황에 적응해 과잉 경계나 공격 또는 두려움과 과잉 방어를 하는 방식으로 발달. 

  - 예2) 부모가 아이의 욕구에 반응, 적절한 보살핌 제공, 자상한 반응 시, 아이의 뇌는 스트레스를 이기고 분노를 조절하고, 친절과 동정심을 유발하는 방식으로 발달

 ⇒ 아이가 감정을 스스로 잘 조절하고 적응하도록 발달하기 위해서는, 부모가 아이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감정을 조율해야 함. 특히, 뇌 성장이 급속히 이루어지는 생후 초기의 아이는 스트레스에 취약하므로 부모가 아이를 따듯하고 세심하게 보살피면서 정서적 유대감을 강화시켜야 함. 

 2) 두뇌발달이 잘 이루어지려면 어떤 경험을 해야 할까?

  - 부모가 영아기에 아이와 함께 얼굴을 마주 보고 다정하게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한다면, 아이의 뇌는 건강하게 발달하여 지적 능력과 사회적 능력이 뛰어난 아동으로 성장하게 될 것. 

  - 아이에게 부모는 최초의 환경. 초기양육 환경에서 부모와의 관계가 성공적인 방식으로 정립된다면, 아이는 생존에 필요한 의식주를 얻게 되는 것 뿐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든든한 자원을 얻는 것. 

 

II. 관계의 영향

1. 관계의 유형

 1) 안정애착(연구대상의 65%)

  - 아이는 주위를 탐색하기 위해 어머니로부터 쉽게 떨어짐

  - 아이는 어머니가 있을 때에는 이따금 어머니에게 가까이 가며, 어머니가 떠났다가 돌아오면 크게 반기지만, 친숙한 상황에서는 어머니가 잠시 떠나도 크게 분리불안을 보이지 않음

  - 어머니: 아이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. 아이가 스스로 노는 것을 충분히 허용

 2) 불안정 회피애착(연구대상의 20%)

  - 아이는 어머니에게 반응을 보이지 않음

  - 아이는 어머니가 방을 떠나도 울지 않고 돌아와도 무시하거나 회피하며,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추구하지 않음

  - 아이는 낯선 사람에게나 어머니에게나 비슷한 반응을 보임

  - 어머니: 영아의 요구에 둔감하고, 아이와의 신체적 접촉이 적음 

 3) 불안정 저항애착(연구대상의 10~15%)

  - 아이는 어머니가 방을 떠나기 전부터 불안해하며, 어머니 옆에 붙어서 탐색을 별로 하지 않음

  - 어머니가 방을 나가면 심한 분리불안을 보이지만, 어머니가 돌아와도 안정감을 얻지 못하고 분노를 보이면서 소리 지르거나 어머니를 밀어내는 양면성을 보임

  - 어머니: 영아의 요구에 무감각. 영아를 다루는 방식이 어색함.

 4) 불안정 혼란애착(연구대상의 5~10%)

  - 혼란애착 유형은 불안정애착의 가장 심한 형태. 회피애착 + 저항애착

  - 분리되었던 어머니가 돌아오면 처음에는 다가가서 안겼다가, 금방 화난 듯이 어머니를 밀어버리거나 떠나는 양극적인 반응. 어머니와의 접촉에 대한 강한 욕구와 어머니로부터 무시당한 데서 오는 공포가 공존

  - 조산아, 아동초기 학대, 박탈경험과 같이 위험에 처한 아이등에서 종종 발견되는 유형

 

2. 관계와 건강한 발달

 1) 안정애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상호작용이 필요

  - 건강한 상호작용이 필요: 눈맞춤, 신체적 접촉, 움직임, 흥분, 기대 등

  - 정서적 분위기: 부모와 아기 모두에게 기쁨, 즐거움 그리고 함께하는 것

  ⇒ 부모와 아이는 통합된 정서적 분위기 속에서 함께 건강한 상호작용을 유지

 2) 안정애착이 형성된 아이는 이런 태도를 보임

  - 아이는 탐색행동을 통해 호기심을 만족함

  - 좌절을 경험할 때에도 쉽게 안정되거나 진정됨

  - 과제가 어려울 때 양육자의 도움을 효과적으로 이용

  - 또래관계 능력이나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고,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나고 또래에 대해 적극적임.

  - 긍정적인 감정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강함

 

3. 관계와 병리적 발달

 1) 안정애착을 형성하는데 위험한 요인

  - 학대, 방임, 빈곤 등

  - 어머니의 우울증으로 가정불화, 과도한 스트레스, 낮은 사회적 지원

  - 아이들은 슬픔, 성급함, 절망감과 혼란스러움을 겪게 됨.

 2) 애착에 문제가 있는 아이의 태도

  - 불안정 회피애착: 또래에 대해 부정적 감정으로 공격적, 적대적 행위를 보임. → 또래로부터 거부되거나 고립되는 경향

  - 불안정 저항애착: 자기신뢰감 부족, 문제를 해결하는데 열정이 적으며, 쉽게 좌절하고 욺. 주위로부터 주목받기 위해 의도적인 행동을 하거나 충동적, 욕구 불만에 빠지기 쉬운 행동 특성을 보임. 또래에 대해 수동적, 종속적인 태도를 보임 → 또래로부터 무시나 공격받을 확률이 높음

  - 불안정 혼란애착: 행복할 때도 눈맞춤을 회피하는 행동특성을 보임. 

  - 애착에 문제가 있는 아동의 경우, 전반적으로 사회성 및 대인관계, 정서 및 행동, 언어, 놀이 등에 문제를 보임.

 ⇒ 초기 관계가 아이의 이후 전반적 발달과 적응에 큰 영향

 

III. 건강한 관계를 위한 양육자의 역할

1. 우리 아이 건강하게 키우기

 1) 민감한 양육자가 되기

  - 민감성은 생후 1년 동안 영아가 형성하는 애착의 질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.

  - 민감한 양육을 경험한 아동 - 안정된 애착 / 민감성 부족한 어머니의 아동 - 불안정 애착

  - 민감성이 높은 행동: 양육자가 자신의 욕구가 아닌 아이의 신호에 맞추고, 아이의 조망에서 적절히 신호를 해석하고, 아이의 신호에 적절히 반응하며, 아이가 좌절을 견뎌낼 수 있는 시간 내에 신속하게 반응하는 행동.

  ⇒ 민감성은 아이에 대한 양육자의 일관성 있는 적절한 반응(cf. 과보호나 버릇없이 두는 것과는 구별)

 2) 아이와 잘 놀아주기

  - 자신의 연령에 맞게 적절하게 잘 노는 아이는 건강한 아이

  - 안정애착의 아이는 사물을 더 적절하게 사용하는 법을 아는 경향, 또래와 협동적 게임을 하는 경향, 상상놀이가 지속적이고 복잡하게 나타나고, 호기심과 융통성을 보이고, 환경을 보다 더 탐색함

  - 성인이 놀이상대로 아이를 이끌어주면 아이의 놀이가 더 정교화됨. 

  - 잘 놀아주기: 아이의 심리적 욕구와 신체적 수준에 맞게 최적의 각성 수준을 유지시키면서 놀이를 이끌어 주는 것. 놀이는 즐거운 것이어야 함. 부모가 즐겁게 아이와 적절하게 놀이를 한다면, 그 안에서 자연스럽게 언어, 인지, 정서, 사회성이 발달.

 3) 애정을 듬뿍 담아 아이를 많이 안아주기

  - 접촉은 스트레스 감소, 불안 감소, 면역력 강화, 주의력 증진 등에 효과적임

 4) 엄마 아빠가 갖는 스트레스는 아이에게도 좋지 않음

  -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정도는 아동의 복지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환경적 요인

  - 스트레스를 받는 어머니는 자녀에 대해 덜 긍정적인 느낌을 가지며 자녀의 요구에 덜 반응하고 덜 민감.

  - 스트레스 자극이 많은 경우 우울증상이 심해지며, 이는 아동의 문제행동과 강한 연관성이 있음.

  ⇒ 양육자는 자신의 스트레스를 잘 지각하고, 이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게 필요

 5) 엄마 아빠는 아이의 생명줄과 같은 안전기지

  - 에인스워스: 양육자의 역할을 '안전기지(Secure Base)'에 비유. 전쟁터의 베이스캠프는 무기, 음식, 의약품 등을 제공하고 군인을 안전하게 지켜주고 지원해주는 생명줄과 같은 역할.

  아이가 세상을 탐색하고 세상 밖으로 점점 더 나아가 독립할 수 있게 되기까지 부모는 아이에게 늘 든든한 '안전기지'로서 존재해야 함

728x90
반응형
LIST